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란?

by 반도체는 프로그래밍을 좋아해 2023. 4. 10.
728x90

스키마(Schema)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와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 내에 어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각각의 데이터가 어떤 속성을 가지며, 이 속성들은 어떤 제약 조건에 따라 정의되는지를 정의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스키마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의해 지원됩니다.

스키마는 일종의 도면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을 명확히 정의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는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할 때 사용되는 일종의 지도입니다.

스키마는 보통 3가지 종류로 구분됩니다. 개념 스키마, 외부 스키마, 내부 스키마입니다. 

  • 개념 스키마는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구조를 정의하고,
  •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의 일부분을 정의합니다.
  •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가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 웨이퍼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서 개념 스키마웨이퍼, 제조장비, 공정, 불량률 등의 논리 구조를 나타내며,

 

  • 외부 스키마는 생산관리팀, 품질관리팀, 유지보수팀 등의 각 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포함합니다.
    • 예를 들어 생산관리팀에서는 제조 일정, 제조량, 생산 비용 등의 정보가 필요하고, 품질관리팀에서는 불량률, 불량 원인 등의 정보가 필요할 것입니다.

 

  • 마지막으로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가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방식을 기술합니다. 웨이퍼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적인 구조, 인덱스 등을 포함합니다.
    • 예를 들어, 웨이퍼가 생산되면 생산된 웨이퍼는 스캔하여 불량 부분을 식별하고, 불량 원인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됩니다. 이 때 내부 스키마에서는 웨이퍼의 생산 일자, 제조 장비, 공정, 불량 부분의 위치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토대로 불량률을 계산하여 품질관리팀에 제공합니다.

 

728x90

'데이터베이스(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용어정리(HA, RAC, TTL, Cluster)  (0) 2023.12.26
MongoDB JSON과 BSON 설명  (0) 2023.04.13
NoSQL과 RDBMS 그 차이  (0) 2023.04.13
몽고DB(MongoDB)란?  (0) 2023.04.12
Redis란?  (0) 2023.03.20